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[생활정보] 바다의 방사능 안정성 정보, 해양방사성 물질 조사정보 확인방법

by ✐♦︎⚃♤ 2023. 4. 6.
반응형

목차

     

    해양환경정보포털

   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는 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국내 연안의 방사성핵종 분포 및 거동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방사성핵조으로부터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사입니다. 해수, 해저퇴적물, 해양생물의 방사능농도 분석결과를 전체 통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해양환경정보포털

     

    조사결과는 국내 연안해역 방사성 핵종 농도의 해역별 특성이나 경향은 나타나지 않으며, 연·근해 방사성물질(원자력안전위원회 조사) 농도범위와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. 

     

    방사성 핵종 농도의 식품 및 음용수 기준

    방사능농도 분석결과 해수의 핵종 지표(134Cs(세슘134), 137Cs(세슘 137), 3H(삼중수소))의 수치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'음용수 및 식품기준'표 입니다. 식품 기준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면 134Cs, 137Cs의 경우 100이하, 3H의 경우 10,000 이하인지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.

     

    방사성 핵종 농도의 식품 및 음용수 기준

     

    2011년도 자료이긴 하지만 '빗물시료 속 ^134Cs, ^137Cs, ^131(l) 방사능 측정 연구'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부산의 빗물에서 채취한 핵종의 방사능 동도는 1이 안된 수치라고 합니다. 

     

    빗물시료 속 방사능 측정 연구

     

    해양방사성 물질 조사정보 지도 서비스

    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 지도서비스는 지리정보체계(GIS,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) 기반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도에서 알고자 하는 위치(정점)를 클릭만 하면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해양방사성 물질 조사정보 지도 서비스

     

    마치며

   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는 해양관측/정도관리, 해양생태/해양보호, 해양폐기물, 해양이용영향평가, 해양환경 정보지도 등 해양 관련된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댓글